728x90
반응형

   우리는 임진왜란이 우리가 진 전쟁으로 인식하고 한반도의 일부가 다른 나라에 한순간 정복당했던 수치심을 여지껏 가지고 있다. 그래서 우리가 임진왜란에 패전했다고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임진왜란은 우리가 이긴 전쟁이며, 이후에 발생한 병자호란과는 다른 성격의 전쟁이다. 하지만 병자호란은 임진왜란과 매우 관련성이 높은 전쟁이다. 

대한민국 vs. 스위스

   우리나라의 지정학적 위치는 매번 강조되고 있지만, 역사를 보면 우리나라도 영세중립국이 되었어도 한참 되었을만한 국가이다.

[출처] https://mapofeurope.com/wp-content/uploads/2013/11/topographical-map-of-Europe.jpg

   몽고가 그저 군사력과 지형을 이용해서 나라의 목숨을 유지하고 있는 형국이라고나 할까? 

 

강국에 둘러싸인 스위스는 어떻게 중립국이 됐을까?

스위스군의 총병력은 12만 명에 즉시 동원 가능 예비군도 약 10만 명에 달한다. 인구 800만, 우리나라의 반 정도 되는 작은 국토에 그것도 주변에 위협을 줄 만한 잠재 적국도 많지 않은 '영세중립�

dailytalk.tistory.com

   스위스의 위치를 보면, 나폴레옹의 프랑스, 히틀러의 독일, 1차세계대전을 일으킨 신성로마제국인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로마의 이탈리아 등으로 둘러 쌓여져 있다.

   우리나라도 근세 최강국 중국, 냉전시대의 대제국 소련, 2차대전 종주국 일본, 그리고 현대 세계 최강국 미국에 둘러쌓여져 있다. 절대 지지 않는다.

 

임진왜란의 정체성

   우리가 흔히 부르는 임진왜란은 마치 독일과 프랑스쯤이거나 로마와 나폴레옹이 붙은 전투 정도급은 넘어서는 전쟁이었다. 내가 보는 관점은 십자군과 오스만제국이 붙은 정도급은 되는 전쟁이었다고 본다.

 16세기 그리고 제1차세계대전지도를 들여다보면,

[출처] https://bit.ly/2Z7CnvJ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그 곁에 오스만의 후예... 터키제국이 있다. 

   여기에 명,조선,일본의 지도를 대입하면... 현재 독일, 폴란드 혹은 이탈리아 급 나라인 일본(왜)이 명분상 영국수준의 국력을 가진 한국(조선)에 쳐들어가서 유럽대륙과 중동지역을 포괄하고도 남을 과거 로마수준의 국력을 가진 중국(명나라)에 쳐들어갈 길을 내달라고 한 전쟁이 임진왜란이다.

조선해군과 로마해군

   그런 일본국과의 전쟁을 치른 조선은 당대 최고의 해군력을 가진 국가였음에 틀림없다. 예로 조선은 일본국의 치고 빠지는 빠른 배에 대비하여 크고 높은 크기를 가지고 있었으며, 

   고려의 진포해전을 전후하여 화포로 무장한 중장비 해군, 최근으로 치면 토마호크로 무장한 이지스함 정도 급의 해군함을 여러척 보유하고 있었다. 

   때문에 조총보다는 정밀타격이 어려웠던 당시 화포로 근접전을 유도하여 화포로 부수고 판옥선으로 돌파하여 배를 완전히 파괴해버리는 전법은 그야말로 전력을 100%살린 탁월한 이순신의 전법이었다.

 

[가우디의 역사 이야기] 거북선과 까마귀 - 조선과 로마 해군 | World of Warships

"가우디의 역사 이야기", 이번 편은 임진왜란과 포에니 전쟁을 통해 조선 해군과 로마 해군의 공통점을 살펴봅니다.

worldofwarships.asia

영국해군

   세계적 해군사에서 5대 해전중에 하나인 트라팔가 해전을 보더라도 2000여 척의 배와 90,000명의 나폴레옹의 대군을 영국은 막아냈다.

 

충무공 이순신

트라팔가르 해전은 나폴레옹전쟁시대에 일어난 가장 유명한 해전이다. 서유럽 대부분을 재패한 나폴레옹은 그의 제국을 동쪽으로 더 넓히고, 영국을 정복하고자 했으나, 이는 트라팔가에서 넬

www.gyeongnam.go.kr

조선해군

   조선은 722척으로 총병력 172,400명의 군대로 맞서 싸웠으며 286,000의 명나라 군대의 지원을 받았다. 하지만 명의 군대는 그야말로 별로 싸우지 않고 주둔하는 힘의 균형을 유지한 상황이 크고, 대부분은 조선군이 의병과 게릴라전으로 막아냈다. 

   한편 일본은 2000척에 달하는 일본수군 및 탑승한 245000(임진왜란) + 298000(정유재란) 군대를 맞서 싸웠다. 

 

임진왜란 군대 목록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다음은 임진왜란 당시 조선, 일본, 명나라의 당시 출전했던 군대들의 목록이다.[1] 총병력: 17만 2400명[2] 종류 규정 배치수 대맹

ko.wikipedia.org

   육군의 전력 비대칭과는 달리 수군의 경우는 왜선과의 대비해서 절대 우위의 판옥선을 가지고 있었고, 화포도 대량으로 갖고 있었으며, 조총과는 댈리 재래식 무기를 갖고 있었지만 다양한 총통무기를 병행함으로서 왜군들의 대응에 전략적으로 다양한 옵션을 가질 수 있었다.

   나폴레옹의 90000만 대군이라는데 우리는 그의 3~4배의 군대를 막아냈던 것이다. 얼마나 압도적인 스케일인가?

   그런 세계대전급 전쟁을 치르면서 조선은 승리를 했던 것이다. 조선이 공세적으로 일본정복에 신경을 썼었더라면 일본은 존재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