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어쩌면 우리나라에 국뽕영화가 없던 차에... 그럴싸한 드라마가 대체할 수 있을 지 싶어 보기 시작한 드라마다... 선진국이 되었는데, 이런 영화/드라마쯤 나올 때가 되었다. 언제까지 일본스토리에 미국 영화연출법만 도입할 것인가?

만파식적

   이 드라마는 현실과 과거를 넘나드는 오브제로 신라의 '만파식적'을 사용하여 시작되는데, 역사의 뿌리를 신라에 두고 만든 드라마라는 것에서 약간의 아쉬움이 든다. 좀 더 멀리 뿌리를 고조선이나 고구려로 두었다면 좋지 않았을까?

   만파식적은 천신이 된 '김유신'과 해룡이 된 '무령왕'으로부터 받은 대나무를 신무왕에게 바쳤다고 하니, 대단한 대나무로 만들어서 특별한 기적을 행할 수 있는 것이었다는데, 그것이 시간여행이었다.

 

만파식적 - 문화콘텐츠닷컴

삼국유사 키워드사전만파식적 만파식적 기본정보 신라의 신적(神笛). 일반정보 신라의 신적(神笛)으로 『삼국유사』 만파식적조에 따르면 신라 제31대 신문왕이 해룡(海龍)이 된 문무왕과 천신(

www.culturecontent.com

   드뎌 나타난 황제의 궁, 어쩌면 여의도 하나쯤 넘겨주고 황가가 살 수 있도록 해준다면 가능할수도 있는 규모이다. 그렇게 한다면 조선을 찾기 위해서 싸웠던 남북한이 정신적 지주로 삼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영어에 맨 앞에 The를 붙인다는 것은 상징성이 매우 크다. 물론 이제는 아무것이나 붙이지만, The가 붙는 영국의 왕은 헨리5세였고, 헨리5세는 프랑스를 정복한 왕이다. 사실... The King은 그런 관점에서 보면 광개토대왕이나 장수왕에게 붙였어야 하지 않나라는 생각도 든다. 

   하지만 여기서의 The King은 상상속 주인공이다. 

 

더 킹 헨리 5세 : The King (2019) - 사실과 다른 점 많음

영국 왕들 중 가장 위대한 왕.... 우리나라의 왕은 주로 정복전쟁에 성공한 왕이 없었는데 ... 영국의 헨리5세는 프랑스를 정복하고 평화를 이룬 왕이었다. 우리나라로 친다면... 가장 강성했던 시절 일본을 정복..

nacoffee.tistory.com

   그림상에 보이는 장군상은 이순신장군상으로 이해되는 광화문광장의 모습으로 보여진다. 하지만 문이 워낙 작고 광장이 좁아서 다른 곳을 새롭게 그려낸 듯 하다. 

   사실 여기서도 작가 혹은 연출자의 역사관이 보이는데, 무를 숭상하는 문화는 독재시대에 시작된 것이고, 장군을 왕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하는 것도 말이 안되는 설정이기도 하다. 왕이 가장 두려워했던 것은 무관이 군대를 규합해서 수도를 치는 것이었으므로, 역사적 사실과 사관에 매우 대치되는 모습이라 할 수 있다. 

    이곤으로 3대 황제가 되었지만, 사실상 3대 황제는 의민태자가 되었어야 하는 것이었다. 1대가 고종, 2대가 순종, 3대가 태자였던 분이며, 이은이 현대식으로 보면 본명이었다. 

 

의민태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의민태자(懿愍太子, 1897년 10월 20일 ~ 1970년 5월 1일)는 한국사의 마지막 황태자이자 일본 제국의 군인이다. 휘는 은(垠), 아명은 유길(酉吉), 자는 광천(光天),[1] �

ko.wikipedia.org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C%9D%98%EB%AF%BC%ED%83%9C%EC%9E%90

   여기에서의 인정전은 대장금(아래)때 나왔던 인정전을 인용한 듯 하다. 

 

창덕궁 인정전 - 나무위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기여하신 문서의 저작권은 각 기여자에게 있으며, 각 기여자는 기여하신 부분의 저작권�

namu.wiki

   또한, 취두의 모습은 백제의 지붕양식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백제의 양식은 고스란히 일본으로 넘어가서 일본에서도 비슷한 양식이 있다. 

 

일본답사> 동대사 2 - 한중일 건축비교와 건축답사...

나라 동대사 2 공간경영에서 느끼는 자연과의 교류와 조화, 상징물의 건축에서 느끼는 인간적 스케일과 체계성, 그리고 예술적 심미안에서 느끼는 시간에 대한 해석적 깊이와 안목... 내가 답사�

blog.daum.net

#EP2

   다친건 오른편인데 왼편에 흉터는 당췌... 내 기억이 잘못된 건지..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