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우리가 말하는 클레오파트라는 클레오파트라 7세 필로파토르가 본명이다. 클레오파트라는 프톨레마이어스의 마지막 왕조의 집권자였다.

클레오파트라 7세 필로파토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클레오파트라 7세 필로파토르(그리스어: Κλεοπάτρα Φιλοπάτωρ, 영어: Cleopatra VII Philopator, 기원전 69년 - 기원전 30년)는 이집트의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ko.wikipedia.org

클레오파트라가 미의 상징으로 비춰지는 것은 그가 당대 최고의 권력자인 시이저의 부인이었다는 이유 때문일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녀는 그리스계 마케도니아인이라고 한다.
물론 마케도니아인이 왜 여기 있었냐면, 알렉산드로스 대왕(우리가 말했던 알랙산더 대왕)이 이집트를 정복하고 나서, 이 지역에 자신의 부장을 앉히고 그는 또 다른 정복전쟁을 떠났기 떄문이다.

헬레니즘 제국의 이집트 점령기 (BC 331~BC 30)

헬레니즘 제국의 이집트 점령기 (BC 331~BC 30) ○ 아르게아스 왕조(알렉산드로스 […]

chedulife.com.au

그로 인해 남겨진 프톨레마이어스는 이 지역의 총통의 역할을 했으며, 이 지역이 장차 대제국의 중심이 될 것이라는 판단에 '알렉산드리아'라는 도시를 건설하고 거기에 거대한 도서관을 건설하게 된다. 또한, 이 도시는 도심을 그리스인이, 동부는 유대인들이, 또 서부는 이집트인들이 공동체를 이루며 사는 식으로 설계했다.
또한, 이 도시에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이 있었으며, 이 도서관은 세계에 가장 강력한 지식정보들이 모두 집산하는 곳(현재로 치면 CIA)가 있었다고 보면 된다.
또한, 세계 7대 불가사의인 파로스 등대도 여기에 있었다. 물론 파로스 등대는 지도 편의 다큐멘타리에서 이미 소개한

[지도2] 이집트, 파라오였던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도...

스틱차트  마샬제도의 한 노인이 손자를 위해서 만든, 스틱챠트, 원시 형태의 지도. 흰돌은 섬을 의미하고, 나뭇가지는 해로를 의미한다. 프롤레마이오소지도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의 도서관

nacoffee.tistory.com

바 있을 정도로 유명한 랜드마크였다.
이 지역에서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을 자주 애용했던 클레오파트라는 고대이집트어, 그리스어 등 많은 언어를 구사하는 실력자로 성장하였다.

아름다움의 상징 이집트 여왕 ‘클레오파트라’의 진짜 얼굴이 공개됐다

‘미(美)의 상징’으로 통하는 이집트의 여왕 클레오파트라의 실제 얼굴이 복원됐다.

m.insight.co.kr

한편으로는 흑인이라는 주장도 있다. 진짜와는 아직도 갭이 크다고 생각되지만 말이다

클레오파트라는 정말 흑인이었나 - 뉴스톱

클레오파트라는 투탕카멘, 람세스 등과 더불어 고대 이집트 역사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인물 가운데 한 명이다. 뿐만 아니라 그는 서양 역사 속에 등장하는 미인들 가운데 가장 유명한 인물이기

www.newstof.com

그림으로 본 클레오파트라다. 전형적인 유럽인 여성으로 그려내고 있다. 피부색도 하얗게 ... 물론 피부색이 하얀 것은 외부생활을 하지 않으면 그렇게 될 가능성도 있겠지만, 아프리카의 태양아래의 피부가 완전히 하얗기란 쉽지 않은 관리노력이 필요했을 것이다.

클레오파트라 Cleopatra - 이집트의 마지막 여왕

이집트 마지막 여왕 클레오파트라 Cleopatra 기원전 69~기원전 30 “역사상 가장 광활하고 비옥한 땅을 호...

blog.naver.com

자신의 왕조를 위해서 시저를 끌어들여 정권을 탈환하고, 그 후세까지 지키고자 했던 그녀, 아마 그녀는 이집트의 민비였다고 볼 수 있다.

실제 백인

"클레오파트라는 실제 백인이었다" 해외에서 재구성해 난리 난 클레오파트라 얼굴

역사 속 미인의 대명사인 실존인물, 클레오파트라. 기원전 69년에 태어난 클레오파트라는 살아있을 때부터 서양에서 제일 유명한 여인이었다. 실제로 클레오파트라가 ...

mb.ntdtv.kr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