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나는 2019.08월에
임진왜란, 사실상 동아시아세계대전에서의 해적들의 약탈과 그 해적들 기반으로 형성된 문화로 다시금 반도와의 전쟁을 시도한 토요토미히데요시의 꿈을 해석했었다.
이 해석과 유사한 해석을 보여준 최근의 글이 발견되었다. 사실 전쟁은 늘 돈의 싸움에서 감정적인 전투가 아니라 전쟁으로서 정치적 권력을 확장하는 데에서 시작한다.
이런 나의 해석과 동일한 해석을 한 사람의 글이 최근에 기재되었다.
2020년 4월에 돈의 역사2에 관련한 글이 있다.
그리고, 그 책을 모태로 11월에 관련한 글이 쓰여져 있다.
이제야 역사관이 바로 서는 것 같다. 임진왜란은 그저 동네 전투가 아니다. 전세계 최강 육군을 보유했던 일본이 근대식 국가관이 서면서 모아진 힘을 분출하는 과정에서, 조선을 침공한 사건이며, 그 사건속에서 명나라가 운명을 달리했고, 조선은 명맥을 유지했다.
물론 이 전쟁을 계기로 보다 올바른 정치를 했더라면 또 근대화의 기회로 삼았더라면 국권침탈이나 한국전쟁도 없었겠지만 모든 것은 돈의 흐름이 근간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작금의 중국과 미국의 대치역시 돈의 기반한 것이다. 그저 니가 좋고 내가 싫고 하는 감정적 문제의 선은 아니다.
반응형
'ND역사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가 나른 나라를 침략하지 않았던 이유 : 노비제도 (0) | 2020.11.14 |
---|---|
고조선은 영산강 일대 마한문명이 있었던 곳에서 출발했다. (0) | 2020.11.08 |
비얀테무르, 이성계의 조상 (0) | 2020.10.29 |
중국 해적.... 글로벌 진출 (0) | 2020.10.27 |
결혼한 한국여성들의 姓이 보존되온 이유는 역사적으로 동등한 가문간의 결합으로 생각한 문화에 기반한다 (0) | 2020.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