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창조적인 바이러스의 이동

   바이러스가 우리 세상을 이리도 바꿔놓을 줄은 몰랐다. 영화 컨테이젼처럼 박쥐가 세상을 바꾸는 세상이 되어 버린 건지도 모르겠다. 

   이런 문제는 인간과 인간끼리의 왕래가 잦아지면서 생기는 문제이기도 한데, 중국과 같이 한동한 폐쇄적인 생활을 해왔던 국가가 다국적 국가와 교류를 하면서 생겨난 것은 아닌가 싶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공지능이 문제를 푼다고는 하지만, 오히려 '엘런머스크'가 고안한 '하이퍼루프' 또 '스페이스엑스'가 대중화가 되면 또 우리는 새로운 유기체가 갖고 있는 신선한 바이러스를 또 접할지 모르겠다. 

 

[2011] 컨테이젼 Contagion

가끔 현실같은 영화가 있고, 또 영화같은 현실이 있다. 이 작품은 영화같은 현실을 보여주고 있는 영화이다. 캐스팅으로도 멧데이먼, 기네스펠트로, 모피어스(로렌스 피시본), 케이트 윈슬릿이 나오는 등 캐스팅에..

nacoffee.tistory.com

   하지만 이러한 변화를 인류가 처음 겪는 것은 아니다. 종류는 다르지만 바이러스는 지구를 재편하는 데 큰 일을 한적이 많다. 특히나 완전히 새로운 문화가 섞이면서 생기는 전염병은 더욱 그러하다. 또 그 원인은 단순하지 않다. 복잡적이고 인과적이며 창조적이기까지 하다. 그 역사적 흐름을 약간만 터치해보려고 한다. 

유럽내 전쟁후 지분구조

   유럽이 봉건제에서 왕권이 강화(참고:대항해시대의 배경과 의의)되면서, 나라간 긴장이 심각해 지면서 각 나라간 이해관계 충돌로 인하여 전쟁이 발발한다. 한동안의 유럽내의 전쟁이 끝나고, 서열이 정리가 되면서 영국, 프랑스, 스페인, 프로이센, 러시아 등의 군사강국들이 나눠가진 유럽에 포르투칼이 가질 지분은 없었다. 

   십자군 전쟁의 패배로 오스만투르크는 비잔티움 제국을 멸망시키고, 유럽은 이베리아 반도를 빼았겼다. 스페인의 소속으로 지속적으로 이슬람을 몰아내려는 활동을 해왔던 포르투칼은 이베리아 반도로부터 이슬람을 몰라내는데 성공한다. 그리고 그 댓가로 교황으로부터 스페인으로부터의 독립을 승인받았다.

   하지만 스페인을 넘어서는 정치력, 군사력을 가지지 못했다. 특히나 해군력은 아쉬움이 많았다. 

포르투칼의 궁여지책

   예나 지금이나 해군력이 그나라의 국방력을 결정한다고 한다. 미군의 경우도 핵항공모함, 핵잠수함 등 해군력으로 대량의 전략적 물자와 양질의 군대를 보낼수 있는 능력은 본토에서의 육군력보다 훨씬 강력한 외교.군사력을 갖는다.

   경제력, 군사력을 얻지 않고서는 유럽내에서 견디지 못하는 것을 잘 아는 포르투칼은 현재의 힘으로는 유럽내에서의 무역으로 인한 이득 또, 이를 팔기 위한 식민지를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하지만 해군력이 거의 없었던 포르투칼에 제노바의 디니스1세는 항해술과 선박건조기술을 전수한다. 지금으로서는 이런 기술은 거의 반도체 기술에 해당이 된다. 

 

학교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세계사 : 일본, 유럽을 만나다

저 : 신상목  연세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한 후, 1996년 제30회 외무고시에 합격하여 외교부에 입부하였다. 외교부 근무 중에는 와세다대학 국제대학원 연수, 본부 동북아1과 및 주일대사관 근무 등 일본 관련 업무를 주로 담당하였다. 2010년 G20 정상회의 행사기획과장, 2012년 핵안보정상회의 의전과장 등 굵직한 국제행사의 실무를 담당하기도 하였다. 한국과 일본의 숙명적 관계에 대한 고민과 성찰을 바탕으로 한일관계에 기여할 수 있는 자신만의 영역을 개

books.google.co.kr

세우타의 점령

   이 기술을 등에 업은 포르투칼은 해군력 증강에 열을 올린다. 이러한 해군력은 어느새 200척의 거대함대를 거느리고 20000이 넘는 군대를 이끌고 이베리아 반도의 반대편 세우타를 점령하고 여기를 요새로 만들어 버린다. 

 

대항해 시대의 배경과 의의

대항해 시대를 바라보는 전통적 견해는 19세기의 시각입니다. 1453 동로마제국이 이슬람에 의해 분리, 멸망...

blog.naver.com

   결과적으로 과거 우리나라로 치면 신라시대의 장보고가 청해진을 설치한 것과 같은 효과로 해상무역을 장악하고 대항해 시대를 열어 인도차이나 반도와 신대륙 발견의 대업을 이루게 된다. 

 

[서평] 대항해시대의 탄생...세계사의 흐름을 바꾼 위대한 모험 - 미래한국 Weekly

문명탐험가 송동훈이 대항해시대에 새로운 세계를 향해 나아간 흥미로운 인물과 역사를 소개한다. 길이 없는 망망대해로 첫발을 내디딘 이들의 호기심, 도전 정신, 의지와 실천이 담긴 진진한 이야기가 펼쳐진다....

www.futurekorea.co.kr

   물론, 부를 축적하고 전성기를 이룬 것은 당연하였다. 향신료와 금의 무역을 독점하다 시피했으니 유럽의 부는 모두 착취와 독점의 결과로 나온 것이다. 

 

 

[조홍식의 부국굴기(富國屈起) | 자유시장경제의 원류를 찾아서(10)] 최초의 세계제국 건설한 포르투갈의 해양자본주의

교역으로 흥하고 사치로 망하다

jmagazine.joins.com

콜럼부스는 바이러스를 전파

    결과적으로 아메리카 대륙 전체 인구의 80%를 질병으로 사망시키고, 아프리카의 노동력을 아프리카 북부, 아시아쪽으로 2000만, 아메리카 대륙으로 7500만 흑인들이 이동하였으니 민족의 대이동도 성사가 되었다. 

 

대항해시대 열리며 시작된 세계적 차원의 유전자 혼합

1 자코보 바사노의 ‘노아의 방주에 들어가는 동물들’(1570년대).자코보 바사노는 르네상스 시대에 활동한 이탈리아 화가다. 틴토레토·라파엘로·뒤러 등 여러 화가들부터 영향을 받아 종교적 그림을 다수 그렸다. 그림 1의 주제인 노아의 방주는 악행을 일삼는 인간을 벌하기 위해 신이 대홍수를 기획하고 신앙심 깊은

news.joins.com

 

[헬로 사이언스] 유럽인의 신대륙 발견으로 소빙하기 찾아왔다 - 뉴스웍스

[뉴스웍스=문병도 기자] 17세기를 전후해 300년 가량 이어진 '소빙하기'. 북반구 평균기온이 지금보다 1도 정도나 낮았고, '여름이 없는 해'가 기록되기도 했다.1677년 아브라함...

www.newsworks.co.kr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