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위키:프로젝트/전쟁사 - 나무위키
객관성 있는 정보를 기재하기 위해서입니다. 당시 전열함들은 목재였으므로 화재에 취약한것을 노린 발사방법. 각종 토막글들이나 보충이 필요한 부분이 있는 문서는 이쪽으로 옮겨주시기 바랍니다.
namu.wiki
-
성복 전투 - 진나라와 초나라의 전투. 진문공이 초나라에 신세진 것을 갚기 위해 90리를 후퇴해준 것으로 유명.(BC 632)
-
필 전투(BC 597)
-
만티네아 전투(BC 362)
-
계릉 전투(BC 353)
-
삼니움 전쟁 - 로마의 이탈리아 반도 지배권 확립(BC 343~290)
-
카이로네이아 전투(BC 338)
-
입소스 전투(BC 301)
-
포에니 전쟁(BC 264~146)
-
장평대전(BC 262)
-
거록대전(BC 207)
-
팽성대전(BC 205)
-
경색전투(BC 205)
-
안읍 전투(BC 205)
-
정형 전투(BC 204)
-
유수 전투(BC 204)
-
형양 · 성고 전역(BC 204 ~ 203)
-
해하 전투(BC 202)
-
자마 전투(BC 202)
-
키노스세팔라이 전투(BC 197)
-
유구르타 전쟁(BC 111 ~ 104)
-
왕검성 전투(BC 109 ~ 108)
-
아라우시오 전투 - 킴브리·테우토니 연합군이 로마군을 완파.(BC 105)
-
젤라 전투 - 카이사르가 폰투스 잔당들을 격퇴.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란 명언을 남기기도 했다.(BC 47)
-
탑수스 전투 - 로마 내전기 카이사르가 아프리카에 남아있던 공화파를 토벌.(BC 46)
-
문다 전투 - 카이사르가 폼페이우스 잔당들을 이베리아의 문다에서 토벌.(BC 45)
-
필리피 전투 - 옥타비아누스&안토니우스 연합군이 마르쿠스 브루투스와 카시우스 롱기누스의 공화정군을 격파.(BC 42)
추가바람3.1.2. 기원후[편집]3.1.2.1. 기원후~9세기[편집]
-
관도대전(200)
-
적벽대전(208)
-
이릉대전(221~222)
-
비류수 전투(246)
-
비수대전(383)
-
수아송 전투(486)
-
부예 전투(507)
-
종리 전투(507)
-
고트 전쟁(535~554)
-
타기나이 전투(544)
-
-
백합야 전투(553)
-
관산성 전투(554) - 백제와 신라 간의 전투 중 가장 유명하며 또 기록상으로 삼국시대 전투 중 가장 자세하게 기록된 전투
-
고구려-수 전쟁(598~614)
-
살수대첩(612)
-
-
니하완드 전투(나하반드 전투) - 정통 칼리파 시대 이슬람군이 사산 왕조 페르시아를 사실상 멸망시킨 전투.(642)
-
고구려-당 전쟁(645~668)
-
황산벌 전투(660)
-
대비천 전투(670)
-
나당전쟁(670~676)
-
테르트리 전투(687)
-
천문령 전투(698)
-
헤레스 데 라 프론테라 전투(과달레테 전투) - 우마이야 왕조 휘하 베르베르인들이 서고트 왕국의 군대를 물리치고 이베리아 반도 점령 시작.(711)
-
코바동가 전투(722)
-
당-남조 전쟁(750~870)
-
탈라스 전투(751)
-
안사의 난(755~763)
-
구보의 난(859~860)
-
방훈의 난(868~869)
-
황소의 난(875~884)
-
비뇌성 전투(899) - 후삼국시대의 전투로 궁예는 양길을 물리치고 이후 세력을 한반도의 2/3까지 키우게 된다.
추가바람
-
운주 전투 - 고려군이 후백제군을 격파하여 후백제로 기울던 추를 다시 끌어온 전투.(934)
-
여요전쟁(993~1019)
-
클론타프 전투(1014)
-
디라키움 전투 - 1018년 동로마와 불가리아 간, 1081년 동로마와 시칠리아 노르만 간 두 차례 전투가 있었다.
-
단다나칸 전투(1040)
-
호수천 전투(1041)
-
스탬퍼드 다리 전투 - 잉글랜드의 해럴드 2세가 노르웨이의 하랄 3세의 침공 저지.(1066)
-
만지케르트 전투(1071)
-
레부니움 전투 - 비잔티움 제국이 쿠만족과 연합해 페체네그족 격퇴.(1091)
-
도릴라이움 전투(1097)
-
방랍의 난(1120~1121)
-
카트완 전투(1141)
-
미리오케팔론 전투(1176)
-
겐페이 전쟁(1180~1185)
-
알라르코스 전투(1195)
-
라스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1212)
-
부빈 전투(1215)
-
파르완 전투(1221)
-
여몽전쟁(1231~1259)
-
삼봉산 전투 - 몽골군이 금의 주력군 격파(1232)
-
레그니차 전투(1241)
-
모히 전투(사요 강 전투)(1241)
-
라 포르비에 전투(1244)
-
알 만수라 전투(1250)
-
베네치아·제노바 전쟁 - 1256~1381년에 걸처 4차례 발발.
-
양양 공방전 - 몽골 제국과 남송 간 전투(1268~1274)
-
여몽연합군의 일본원정(1274, 1281) - 가미카제란 말이 생긴 근원이 된 전쟁. 일본이 받아본 유일한 외세의 침략이다.
-
벨버즈드 전투 - 세르비아 왕국과 불가리아 제2제국 간 전투. 스테판 두샨 휘하 세르비아가 승리함으로써 발칸 반도의 패권을 잡는다.(1330)
-
비스비 전투(1361)
-
제1차 요동정벌(1370) - 공민왕 때 있었던 고려의 대외원정. 한국사에서 마지막으로 요동(만주)땅을 공략하고 실제 점유했던 시기.
-
마리차 강 전투 - 오스만 제국이 아드리아노플 인근 마리차 강에서 세르비아를 완파. '세르비아인의 파멸'이란 별명이 붙음.(1371)
-
코소보 전투 - 1389년 오스만 제국과 동유럽 연합군의 대 전투. 이 전투로 인해 현재 세르비아와 코소보 간 연고권 문제가 계속되고 있다. 1448년엔 헝가리의 야노슈 훈야디와 스칸데르베그가 연합해 오스만 제국과 싸웠으나 패배.
-
니코폴리스 전투(1396)
-
대마도 정벌 - 1차는 1389년, 2차는 1396년, 3차는 1418년 벌어졌다. 왜구에 대한 일종의 예방전쟁.
추가바람
-
백년전쟁(1337~1453)
-
바르나 전투(1444)
-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 - 작성시 공성전 문서를 참고해 주세요.(1453)
-
장미전쟁(1455~1485)
-
베오그라드 전투(1456)
-
찰디란 전투(1514)
-
마리냐노 전투(1515)
-
마르지 다비크 전투 - 오스만 제국이 맘루크 왕조의 주력군 격파, 시리아 정복.(1516)
-
비코카 전투(1522)
-
모하치 전투(1526)
-
1차 빈 포위(1526) - 신성로마제국령 오스트리아의 중심도시 빈에 오스만 제국군이 침공하여 벌어진 공성전.
-
프레베자 해전(1538)
-
사량진왜변(1544)
-
레판토 해전(1571) - 신성동맹(또는 기독교 동맹)과 오스만 제국이 그리스 인근 레판토에서 맞붙은 전투.
-
코마키 나가쿠테 전투(1584) - 일본 센고쿠시대 도요토미 히데요시 진영과 오다 노부카쓰·도쿠가와 이에야스 진영 간에 벌어진 전투이다.
-
임진왜란(1592~1598)
-
세키가하라 전투(1600)
-
30년 전쟁(1618~1648)
-
바이센베르크 전투 - 보헤미아 전쟁의 대미. 황제군의 결정적 승리.
-
슈타틀론 전투 - 틸리 백작이 지휘하는 황제군의 결정적 승리.
-
1차 브라이텐펠트 전투 - 구스타프 2세 아돌프 왕의 스웨덴군이 틸리 백작의 황제군 격파.
-
뤼첸 전투 - 구스타프 2세 아돌프 왕의 전사. 스웨덴군의 피로스의 승리.
-
1차 뇌르틀링겐 전투 - 황제군의 결정적 승리. 프랑스군의 본격적인 개입을 촉진시킨다.
-
2차 브라이텐펠트 전투 - 스웨덴군의 결정적 승리.
-
로크루아 전투 - 프랑스군의 결정적 승리. 스페인 테르시오의 마지막 분전과 몰락.
-
얀카우 전투 - 스웨덴군의 결정적 승리.
-
2차 뇌르틀링겐 전투 - 프랑스군의 승리.
-
-
사르후 전투(1619)
-
북방전쟁 - 목차 2호 북방전쟁 리스트에 해당되는 전쟁들 내용 작성 필요.
-
정묘호란(1627)
-
병자호란(1636~1637)
-
일편석 전투 - 청·오삼계 연합군이 이자성군을 완파.(1644)
-
칸디아 공방전(1648)
-
나선정벌(1654, 1658)
-
제2차 빈 공방전(1683) - 오스만 제국의 2차 빈 포위 공성전. 폴란드의 기병대인 윙드 후사르가 활약한 전장으로도 유명하다.
-
나르바 전투(1700)
-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1733~8)
-
7년 전쟁(1756~1763)
-
콜린 전투 - 프리드리히 대왕의 대패 1번.
-
로스바흐 전투 - 프리드리히 대왕의 대승 1번.
-
로이텐 전투 - 프리드리히 대왕의 대승 2번.
-
조른도르프 전투 - 사실상의 무승부. '러시아인들을 죽이기는 쉬우나 그들에게서 승리하기는 어렵다.'
-
호크키르히 전투 - 프리드리히 대왕의 대패 2번. 숫적 열세+적이 자신의 전술을 모방하는 바람에 자다가 털림...(...)
-
민덴 전투 - 영국 프로이센 헤센 하노버 동맹군이 프랑스군에 결정적 승리.
-
쿠네르스도르프 전투 - 프로이센의 결정적 패배. 프리드리히 대왕이 자살까지 생각하다.
-
토르가우 전투 - 프리드리히 대왕의 피로스의 승리.
-
프라이베르크 전투 - 마지막 대규모 전투. 프로이센의 결정적 승리.
-
-
미국 독립 전쟁(1775~1783) - 대영제국과 13개 식민지(Thirteen Colonies) 사이의 전쟁.
-
요크타운 전투(1781)
-
-
미영전쟁(1812~1815)
-
나폴레옹 전쟁(1796~1815)
-
태평천국의 난(1851~1864) - 중국 청나라 말기에 일어난 농민 대봉기이자 신정국가 태평천국 건국 운동.
-
남북전쟁(1861~1865)
-
병인양요(1866)
-
보불전쟁(1870~1871) - 오랜 세월 분열되어 있던 독일이 통일되어 독일제국이 건립되고, 나폴레옹 3세의 제2제정이 무너졌다.
-
신미양요(1871)
-
줄루 전쟁(1879)
-
보어전쟁(1899~1902)
-
다르다넬스 해전(1915)
-
갈리폴리 전투(1915) - 또는 갈리폴리 상륙작전. 일차적 목적은 흑해를 장악해 전술상 우위를 점하기 위함이었고, 이차적으로는 서부전선에서 물자의 부족에 시달리던 연합군에게 보급을 하기 위해 감행된 대규모 상륙작전.
-
헬리골란트-바이트 해전(1914)
-
코로넬 해전(1914)
-
도거 뱅크 해전(1915)
-
포클랜드 해전(1914)
-
기타 모든 전투 목록은 영문 위키백과 문서 참조. 전투 목록만 100여개가 넘어 분리시켰다.
-
제2차 세계대전/전투목록을 참조.
-
독소전쟁 문서의 개설되지 않은 전투 목록
-
기타 전투 목록은 영문 위키백과 문서 참조. 저 전투 목록은 최소한의 전투만 담은 것으로 실제로는 200여개 이상(...)이다.
'ND역사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6.25참전) 강뉴부대의 참전 : 이디오피아 (0) | 2020.04.11 |
---|---|
나치의 상징이 평화의 상징이었다: 하켄크로이츠(독일어: Hakenkreuz) vs. Swastika (0) | 2020.04.07 |
코로나(COVID-19)와 지구촌시대 (0) | 2020.03.15 |
17년 3월 7일 : 미국의 대중국 미사일 방어전략 물자인 THAAD가 한국에 들어왔다. (0) | 2020.03.07 |
전서구의 활용 - 로스트바탈리언 (0) | 2020.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