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역사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국사기를 반대한 친일 식민사관 역사계 (0) | 2022.02.06 |
---|---|
임진왜란 최후의 전투 - 남해도 왜병 소탕작전 (0) | 2021.12.31 |
일본 이토 히로부미의 반격의 준비 (0) | 2021.11.20 |
이집트 클레오파트라의 얼굴 복원 - 백인? (0) | 2021.11.06 |
133척을 혼자 맞서 싸운 장수는 이순신이었다. (0) | 2021.10.24 |
삼국사기를 반대한 친일 식민사관 역사계 (0) | 2022.02.06 |
---|---|
임진왜란 최후의 전투 - 남해도 왜병 소탕작전 (0) | 2021.12.31 |
일본 이토 히로부미의 반격의 준비 (0) | 2021.11.20 |
이집트 클레오파트라의 얼굴 복원 - 백인? (0) | 2021.11.06 |
133척을 혼자 맞서 싸운 장수는 이순신이었다. (0) | 2021.10.24 |
조선이 이겼다. 아니 조선은 이겼다.
강화도 점령해서 압박을 하러함.
모로카시호(고장)
팔라스호(고장)
베트남 황제가 지원을 요청하러 온다. 20만을 이끌고 진압을 해주었으나 베트남에서 전멸했다. 그로 인해서 남방지역 치안이 무너졌다.
베트남, 중국 사이 지역의치안이 무너지면서 회교도, 백련교도들이 반란을 일으킴.
만주족을 대신해서 한족이 주축적 역할을 하게 된다.
한족/회족의 분쟁, 청조는 한족을 지지하여 회족에 대한 탄압사건이 일어남.
홍수전을 중심으로 난징을 수도로 지정하고 국가를 설립한다. 북경까지 군대를 올리고, 쓰촨성까지 부대를 올림. 그로 인해 북경과 신장 사이에 국경을 차단한다.
이로 인해서 군대보급 통로가 단절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서 회교도 반란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서 좌동당이 파견됨.
엄청난 군비확장이 발생한다.
2차 중영전쟁도 빠르게 회복하고자 함.
협상을 하고자 했던 해군중심 이홍장과는 달리 육군중심 좌종당의 두 부대가 청불전쟁에서 엄청난 전과를 이루어냄. 이로 인해서 현재 청나라와 베트남 국경선이 필요함.
이 청불전쟁을 승리하고자 프랑스는 일본을 설득해서 현재 열세를 타개하려고 함. 중국입자에서는 조선은 울타리였기 때문에 막으려고 함.
일본은 프랑스와의 밀약으로 조선에서의 추가적인 전선을 만들고자 150여명의 군대로 하여금 조선군 개화파 김옥균이 조선을 장악하게 도움을 준다.
청나라의 주도권으로부터 벗어나려 했던 최초의 우리나라의 운동.
우정국 사건을 중심으로 일본이 조선군의 반란을 돕는다. 그것이 갑신정변이다. 하지만 중불전쟁에서 승전한 청나라는 곧바로 갑신정변을 진압한다. 조선군은 두패로 나누어지고 궁으로 전선을 옮겼지만 김옥균은 그로 인해서 일본으로 탈출한다.
사과를 요구했고 하지 않으면 선전포고를 하겠다고 함.
주권선의 보장
이익선을 조선으로 정함.
- 사단으로 대외원정을 위한 모든 체계를 변경
- 편제/계급체계/장비/무기 모두를 바꿈
이로 인해서 전쟁준비를 완료 함.
결정적인 패배를 안겨야 함.
대한해협을 안전하게 건너야 함.
조선인들의 대응을 막아야 함
그래서 고종을 잡으러 가야 함.
고종은 큰 문제가 없고, 아산을 점령했기에 어렵지 않음을 생각했었음.
아시아의 중화질서의 끝은 청일전쟁이었다.
이익선을 실행하기 위해서 일본은 조선의 왕을 잡으러 간다.
광을호가 선제공격으로 격파당한다.
청나라(이홍장)는 일본의 고종포위작전을 무마시키고자 영국배(고승호)를 통해 아산에 지원군을 보낸다. 풍도해전 을 벌이고 성환전투(아산전투?)에서도 일본이 승리한다.
패배
이홍장의 빠른 마무리로 노력하다보니... 진원, 정원이 침몰한다.
임진왜란 최후의 전투 - 남해도 왜병 소탕작전 (0) | 2021.12.31 |
---|---|
용인의 유래 (0) | 2021.12.16 |
이집트 클레오파트라의 얼굴 복원 - 백인? (0) | 2021.11.06 |
133척을 혼자 맞서 싸운 장수는 이순신이었다. (0) | 2021.10.24 |
화장실의 역사 - 망토를 일컬었던 이름.... 뚜알... 콜레라.... (0) | 2021.09.30 |
우리가 말하는 클레오파트라는 클레오파트라 7세 필로파토르가 본명이다. 클레오파트라는 프톨레마이어스의 마지막 왕조의 집권자였다.
클레오파트라 7세 필로파토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클레오파트라 7세 필로파토르(그리스어: Κλεοπάτρα Φιλοπάτωρ, 영어: Cleopatra VII Philopator, 기원전 69년 - 기원전 30년)는 이집트의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ko.wikipedia.org
클레오파트라가 미의 상징으로 비춰지는 것은 그가 당대 최고의 권력자인 시이저의 부인이었다는 이유 때문일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녀는 그리스계 마케도니아인이라고 한다.
물론 마케도니아인이 왜 여기 있었냐면, 알렉산드로스 대왕(우리가 말했던 알랙산더 대왕)이 이집트를 정복하고 나서, 이 지역에 자신의 부장을 앉히고 그는 또 다른 정복전쟁을 떠났기 떄문이다.
헬레니즘 제국의 이집트 점령기 (BC 331~BC 30)
헬레니즘 제국의 이집트 점령기 (BC 331~BC 30) ○ 아르게아스 왕조(알렉산드로스 […]
chedulife.com.au
그로 인해 남겨진 프톨레마이어스는 이 지역의 총통의 역할을 했으며, 이 지역이 장차 대제국의 중심이 될 것이라는 판단에 '알렉산드리아'라는 도시를 건설하고 거기에 거대한 도서관을 건설하게 된다. 또한, 이 도시는 도심을 그리스인이, 동부는 유대인들이, 또 서부는 이집트인들이 공동체를 이루며 사는 식으로 설계했다.
또한, 이 도시에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이 있었으며, 이 도서관은 세계에 가장 강력한 지식정보들이 모두 집산하는 곳(현재로 치면 CIA)가 있었다고 보면 된다.
또한, 세계 7대 불가사의인 파로스 등대도 여기에 있었다. 물론 파로스 등대는 지도 편의 다큐멘타리에서 이미 소개한
[지도2] 이집트, 파라오였던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도...
스틱차트 마샬제도의 한 노인이 손자를 위해서 만든, 스틱챠트, 원시 형태의 지도. 흰돌은 섬을 의미하고, 나뭇가지는 해로를 의미한다. 프롤레마이오소지도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의 도서관
nacoffee.tistory.com
바 있을 정도로 유명한 랜드마크였다.
이 지역에서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을 자주 애용했던 클레오파트라는 고대이집트어, 그리스어 등 많은 언어를 구사하는 실력자로 성장하였다.
아름다움의 상징 이집트 여왕 ‘클레오파트라’의 진짜 얼굴이 공개됐다
‘미(美)의 상징’으로 통하는 이집트의 여왕 클레오파트라의 실제 얼굴이 복원됐다.
m.insight.co.kr
한편으로는 흑인이라는 주장도 있다. 진짜와는 아직도 갭이 크다고 생각되지만 말이다
클레오파트라는 정말 흑인이었나 - 뉴스톱
클레오파트라는 투탕카멘, 람세스 등과 더불어 고대 이집트 역사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인물 가운데 한 명이다. 뿐만 아니라 그는 서양 역사 속에 등장하는 미인들 가운데 가장 유명한 인물이기
www.newstof.com
그림으로 본 클레오파트라다. 전형적인 유럽인 여성으로 그려내고 있다. 피부색도 하얗게 ... 물론 피부색이 하얀 것은 외부생활을 하지 않으면 그렇게 될 가능성도 있겠지만, 아프리카의 태양아래의 피부가 완전히 하얗기란 쉽지 않은 관리노력이 필요했을 것이다.
클레오파트라 Cleopatra - 이집트의 마지막 여왕
이집트 마지막 여왕 클레오파트라 Cleopatra 기원전 69~기원전 30 “역사상 가장 광활하고 비옥한 땅을 호...
blog.naver.com
자신의 왕조를 위해서 시저를 끌어들여 정권을 탈환하고, 그 후세까지 지키고자 했던 그녀, 아마 그녀는 이집트의 민비였다고 볼 수 있다.
"클레오파트라는 실제 백인이었다" 해외에서 재구성해 난리 난 클레오파트라 얼굴
역사 속 미인의 대명사인 실존인물, 클레오파트라. 기원전 69년에 태어난 클레오파트라는 살아있을 때부터 서양에서 제일 유명한 여인이었다. 실제로 클레오파트라가 ...
mb.ntdtv.kr
용인의 유래 (0) | 2021.12.16 |
---|---|
일본 이토 히로부미의 반격의 준비 (0) | 2021.11.20 |
133척을 혼자 맞서 싸운 장수는 이순신이었다. (0) | 2021.10.24 |
화장실의 역사 - 망토를 일컬었던 이름.... 뚜알... 콜레라.... (0) | 2021.09.30 |
근대사에 획을 긋는 국군 조력 외국인의 귀국 (0) | 2021.08.27 |
12척 아니 나중에 추가된 1척까지 포함한 13척 중
이순신은 혼자 나가 싸웠었다고 실록, 난중일기, 열려실기술에 기록되어 있다.
일본 이토 히로부미의 반격의 준비 (0) | 2021.11.20 |
---|---|
이집트 클레오파트라의 얼굴 복원 - 백인? (0) | 2021.11.06 |
화장실의 역사 - 망토를 일컬었던 이름.... 뚜알... 콜레라.... (0) | 2021.09.30 |
근대사에 획을 긋는 국군 조력 외국인의 귀국 (0) | 2021.08.27 |
취두 : 독수리 머리 - 대부분 용 머리 (0) | 2021.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