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치는 제주의 은갈치가 유명할 정도로 난류성 어종이다. 그마만큼 갈치의 속초 상륙은 대단한 뉴스이자, 어종의 변화를 말해주는 시금석이 되는 셈이다.
https://news.v.daum.net/v/20190812154212468
바다가 수상하다..속초에 나타난 갈치 떼
강원도 속초에선 제주, 부산 등 남해 난류 바다에 서식하는 갈치가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냈고, 그보다 더 위쪽인 고성에선 대표적 열대어종인 청새치가 잡혔다. 경기도에선 최근 모기를 수집해 조사했더니 기온이 상승할수록 말라리아 매개 모기가 급증한 것이 확인됐다. 한반도가 아열대성 기후로 변하면서 나타나고 있는 모습이다. 12일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2020년 아
news.v.daum.net
그런데 그 갈치는 도무지 싸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왜 일까? 이는 기름값과 비슷한 원리라고 한다. 유통이 잡고 가격을 내리지 않는 것이 그 이유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4447836
오징어-갈치, 이상하게 비싼 이유
친절한 경제입니다. 고추장찌개에 이어서 먹는 이야기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 먹는 생선 뭘까요? 여러 가지가 떠오르실 텐데, 대형마트들 팔리는 걸 쭉 뽑아 보면 1, 2위는 갈치하고 오징어가 엎치락뒤치락 합니다.
news.sbs.co.kr
어쨌든 한반도의 생태계가 변화하고 있고 이는 곧 우리가 먹을 수 있는 생선의 변화도 동반하고 있다는 것.
나쌤.
'ND생명다양성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투기의 맹금류 이름 애칭 (0) | 2020.05.15 |
---|---|
태풍의 순기능 (0) | 2019.09.08 |
대구의 은둔 (0) | 2019.08.25 |
산업디자인특허권이 등록된 새 보호 목도리 국산화가 시급하다. (0) | 2019.07.28 |
외래종 미국 가재 - 지석천에서 우리강 곳곳에서 발견 (0) | 2019.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