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기를 타고 유학의 길을 간접 체험했던 97년 3월 나는 긴 여행을 했다. 지금이야 아무때나 맘만 먹으면 갔던 곳이지만, 당시만 해도 일부 해외주재원쯤이 아니만 갈 일이 없는 그런 도시에 도착했다.
그곳의 이름은 슈트트가르트, 이름도 거칠어서 동구권 도시 이름쯤으로 불리는 곳이라 해도 이상하지 않을 만큼 거친 이름의 도시이고, 이곳은 2차대전 때에 하도 폭격을 당해서 마을을 완전히 신도시처럼 개발을 했다는 그곳이다. 그래서 구도심은 거의 없고 모두 새로 지은 건물들뿐이었다.
하우프트반호프(HAUPTBAHNHOF)에서 내려서 코닉스트라쎄(KonigStrasse)를 내려가는 길에 이 근처에서 가장 큰 백화점이 있었고, 그 백화점 근처에 가장 큰 레코드가게(요새 이름으로 CD가게?)가 있었다. 물론 친구들에게 물어서 찾아갔지만...
하우프트반호프(HAUPTBAHNHOF)
코닉스트라쎼는 왕의 거리라는 뜻으로 기억하는데 정말 많은 상점들이 있는 곳이다. 우리로 치면 명동쯤?
늘 그렇듯, 혼자다니면서 잘 다니던 습관은 음악CD나 레코드 가게를 찾아다니는 일이었다. 그 때만큼은 나의 온갖 사치를 다 부릴 수 있었다고 생각했다. 계획적으로 짜놓은 모든 소비계획은 CD를 만나면 모두 원점에서 포기가 된다. 지금도 왜 그랬는지는 알 수 없지만..(누군가 연구를 해주었으면.. ㅎ)
그중 한군데 였던 라르케(정확한 발음은 나도 잘 모른다. 그렇게 알려줬다. 내게)였다. 영어로 요새 나같은 젊은이들이 많이 듣는 음악은 뭐냐? 이렇게 물었더니 그들은 Techno음악을 알려주었다. 한참을 듣던 나는.... 음. 이건 내 과가 아니군.. 하고 다른 음악을 뒤졌었던 기억이 난다.
슈트트가르트의 온갖 CD샵은 다 뒤지고 다녔고, 길가다가 LP가게가 있었어도 뒤지고 다녔다. 내가 한국에서 못산 음악을 살 수 있을까? 하는 생각에... 그 곳에서 못샀던 음반들을 구입할 수 있었는데.. 그 중 하나가 실버마운틴(Silver Mountain)이었고, 그 다음이 독일출신의 Progressive Rock그룹 Klaus Schulze나 Tangerline Dream도 있었지만... 사실 이들의 앨범은 널려있었다. ㅋ
독일에서 사야할 미션이 될만한 음반은 'Art of Noise'였다. 이름 만큼이나 이들의 음악은 예술성이 농후한 음악이었고 아직도 설치 미술, 현대 미술 이런 전시회에 사용하더라도 무방한 음악을 만들어냈었다. 당시 독일의 음반 제작 기술이 얼마나 뛰어났는지 지금들어도 마스터링이나 잡음들이 전혀 느껴지지 않을 정도이다. 물론 이 그룹은 잡음(noise)를 음악에 접목시켜서 음악을 작곡하고 연주했던 그룹이다.
짧고 간단히 소개한 아트오브노이즈의 소개, Yes의 90125에도 참여를 했었다니 ... ㅋㅋ 놀라움을 금치 못한다. 90125는 Yes의 상업적 성공음악 'Owner of the lonely Heart'의 음악이 실린 음반이다.
그리고는 이런 음악들이 너무 맘에 들어서, Art of Noise의 전체 앨범들을 긁어모으기 시작했다. 미쳤다. CD가 비싸기도 했지만 가격과 상관없이 온 Stuttgart를 다 뒤지고 다녔으니, 아마 독일말 못하는 사람이 와서 그냥 Art of Noise라고 말만 하고 음반 있냐고 물어보는 사람은 나밖에 없었을 것이다.